전생 빛 갚으러 중이 되었네
5백년 이어진 숭유배불정책으로 조선시대의 불교는 그야말로 근근히 그 맥을 이어오다가 조선조말 경허 선사의 등장으로 홀연 불교증흥의 불꽃이 타오르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1900년대 우리나라 불교계에서는 ‘북(北) 오대산에 방한암이 있고, 남(南) 덕숭산에 송만공이 있다“는 말이 든든한 버팀목처럼 회자되고 있었다. 그만큼 오대산의 한암 스님과 덕숭산의 만공 스님은 당시 우리 불교계를 상징하는 두 거목이셨다.
“스승 위해 선 살도 베어 올리리라”
송만공(宋滿空) 스님은 1871년 3월7일, 전라북도 태인읍에서 출생, 14세의 어린 나이로 야반도주하여 봉서사, 송광사, 쌍계사를 거쳐 계룡산 동학사에서 진암(眞岩) 노사(老師)문하에 머물다가 천하의 선지식 경허 선사를 만나 충남 서산의 천장암에서 경허 선사의 속가 형인 태허 스님을 은사로, 경허 선사를 계사로 득도, 월면(月面)이라는 법명을 받고 사미승이 되었다. 그후 천장암 마곡사의 토굴에서 수행하였고 부석사를 거쳐 통도사의 백운암에서 마침내 두 번째 깨달음을 얻어 경허 선사로부터 인가를 받고 만공이라는 법호와 함께 전법게를 받았다.
이후 만공 스님은 금강산 마하연을 비롯 명산대찰에서 수행하였고 충남 예산의 덕숭산에 머물며수덕사, 정혜사, 견성암을 중창하고 기라성 같은 제자들을 길러내며 선풍을 드날리다가 1946년 10월 20일, 세수 76세, 법랍 62세로 열반에 들었다.
옛날 부처님 살아계실 때, 아난존자가 부처님을 ‘입안의 혀’처럼 극진히 시봉했다고 불전(佛傳)은 전하고 있다. 그와 마찬가지로 만공은 그의 스승 경허 선사를 얼마나 존경하고 얼마나 극진히 모셨는지 모른다.
만공이 젊었을 때, 경허 선사를 모시고 해인사에서 수행하고 있었다. 이 때 경허 선사는 술과 고기를 마다 않으시고 드시는지라 일부 수행자들 간에 말들이 많았다. 그러나 당시 해인사의 눈푸른 선객이었던 제산 스님과 주지 남전 스님은 남들이 뭐라고 하건 경허 선사께 곡차와 고기안주를 올려드렸다.
“나는 누가 뭐라고 하든, 경허 큰 스님께는 곡차와 닭고기를 계속 올릴 것이오.”
주지였던 남전 스님도 맞장구를 쳤다.
“경허 큰 스님같은 어른을 위해서라면 나는 닭 아니라 소라도 잡아 올리기를 서슴지 않겠소.”
이 때 만공 스님은 결연한 얼굴로 이렇게 말했다.
“제가 만일 경허 큰 스님을 모시고 깊은 산속에 살다가 양식이 떨어져 공양 올릴 것이 없게 된다면, 저는 기꺼이 제 살점을 점점이 오려서라도 스님을 봉양할 각오입니다.”
그만큼 스승 경허는 제자 만공에게 절대적인 존재였으니, 오늘날에 과연 이토록 극진히 스승을 모시는 제자가 남아 있을까.
“나는 전생에 기생이었지”
만공 스님은 참으로 지혜와 복덕을 두루 갖춘 분이었다. 모든 백성들이 초근목피로 연명하고 있던 시절이라 큰절이건, 작은 절이건 늘 양식조차 넉넉한 편이 아니었다. 그러나 만공 스님이 와 계시기만 하면 그 절에는 신도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고 시주도 줄을 이어서 절살림이 금방 넉넉해지곤 하였다.
어느날 비구니 일엽(一葉) 스님이 만공 스님께 여쭈었다.
“스님 참 이상한 일입니다. 스님께서 금강산 마하연에 계실 때도 그랬고, 이 수덕사도 그렇고, 스님이 계시기 전에는 끼니걱정하기 바빴는데, 스님께서 머물기만 하시면 시주가 줄을 이어 양식 걱정을 안하게 되니, 스님께서는 대체 전생에 무슨 복을 그리도 많이 지으셨습니까?”
“전생에 내가 고생고생 해가면서 저축을 좀 해 두었더니 그게 지금 돌아오는 거야.”
“무슨 저축을 어떻게 하셨는데요?”
만공 스님은 잠시 허공을 쳐다보시더니 말씀을 이어 나갔다.
“전생에 나는 여자였느니라. 그것도 복도 지지리도 없는 여자였다. 부모복도, 형제간 복도 없는 박복한 여자였어. 그래서 전라도 전주땅에서 기생노릇을 했었지.”
“예에? 기생을요?”
“그 때 내가 육보시(肉布施)를 좀 했지. 그리고 버는 돈이 있으면 굶은 사람들 양식을 사다 주고, 전주 봉서사에 계신 스님들 양식도 대어드리고... 그 때 그 양식들이 저축이 되어서 이제 조금씩 돌아오는 거야.”
만공 스님은 조금도 스스럼없이 당신의 전생이야기를 제자들에게 들려주시고는 하였다. 당신께서는 3생 전에 전주에서 향란이라는 기생노릇을 했는데, 그 때 바로 진묵대사께서 전주 봉서사에 계셨다고 말씀하셨다. 그리고 그 후생에는 장수였고, 바로 전생에는 소였다고 말씀하셨다.
“아니 스님께서 바로 전생에 소였다는 말씀입니까?”
“그래. 전생이 빚을 갚느라고 소로 태어났었는데, 소노릇을 하면서도 제대로 빚을 못 갚아 그 남은 빚을 갚으려고 중이 되었다.”
“소로 사셨으면 빚을 다 갚으셨을 텐데 무슨 빚이 또 남으셨다는 말씀입니까?”
“이 녀석아! 소도 소 나름이지. 여물만 배터지게 먹고 일할 때 게으름을 피우면 소노릇을 하면서도 빚을 갚기는커녕 오히려 빚을 늘이는 거야. 그러니 너희들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옛스님들은 이렇게 경계하셨느니라. 출가승려라고 해서 신도들이 갖다 주는 시주물을 받아 먹고 중노릇을 게을리 해서 불도를 제대로 이루지 못하면, 이는 신도들의 재물을 도적질한 것과 같은 것이니, 마땅히 죽어서 소가 되어 그 빚을 갚아야 하는 것이야. 무슨 말인지 알아 들었느냐?”
오늘 우리 중생, 한 사람 한 사람은 과연 어떠한가?
전생에 진 빚을 이생에 갚아나가기는커녕, 행여라도 새로운 빚을 늘이고 있는 것은 아닌지,
겸허한 마음으로 되돌아볼 일이다.
'부처님 향기 > 윤회와 인과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종자의 몸에 최후로 남은 온기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다음생 (0) | 2013.01.31 |
---|---|
[스크랩] 애욕의 늪에서 벗어난 여인 (0) | 2013.01.20 |
[스크랩] *인과에 관하여 (0) | 2013.01.20 |
[스크랩] *윤회는 있다 / 성철스님 (0) | 2013.01.20 |
[스크랩] *업이란 무엇을 말하는 것이며 어떤 것인가? (0) | 2013.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