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락과 아미타불/염불에 관한 장

[스크랩] 왜 아미타불을 염해야 하는가

慧蓮혜련 2009. 4. 19. 10:16

왜 아미타불을 염해야 하는가

염불 가운데서 '왜 하필이면 아미타불을 염해야 하는가'에 관해서
살펴보면"아미타불이란 한 분의 부처님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요,
실로 온 우주법계에 상주불멸하는 대 생명 그 자체이며 극락세계의
교주이면서 동시에 법신(비로자나불)과 보신(노사나불),
화신(석가모니불)의 삼신(三身)을 수용한 일체불의 본체로서 영원한
생명과 자비를 위주로 할 때는 무량수불(無量壽佛)이요,
무한한 지혜공덕을 위주로 할 때는 무량광불(無量光佛)인 것입니다.

그래서 자비로운 공덕으로는 관세음보살이 되시며, 지혜의
공덕으로는 문수보살이나 대세지보살이며, 원력(願力)쪽으로 보면
보현보살이고, 영가를 천도할 때 극락세계로 인도하는 측면에서
보면 지장보살이요, 인로왕보살이며, 병고를 다스리는 쪽으로 볼 땐
약사여래, 약왕보살이 되며, 법신 부처님이 하늘에 있는 달이나
별이나 그런 광명체로 화현(化現)하실 때는 이른바 치성광여래요,
일광 보살, 월광 보살이며 또 칠성인 것이기에 부처님의 청정무비한
무량공덕이 산에 들어가 있으면 산신이요, 물에 들어가 있으면
용왕인 것이다.(청화 스님)

나무아미타불이 불교 전통신앙이라는 증거

1. 대승경전 2,600여권중 1,600여권이 아미타불을 신앙할 것을
권하고 있습니다.
2. 한국불교에 있어서 정근을 할 적에 다른 부처님은 그냥 이름
(석가모니불, 관세음보살, 지장보살, 약사여래불 등등)만 부르며 정근
하는데 아미타불 정근할 때 만큼은 나무(귀의한다는 의미)를 붙여서
'나무아미타불'하면서 정근합니다.
3. 사찰에서 아침 예불의 종성은 장엄염불로써 아미타불을
찬탄하는 것입니다.
4. 한국의 대표적인 의식경전인 천수경에 있어서 그 핵심인
신묘장구대다라니에 들어 갈 때 '나무본사아미타불'을 세 번
외치고서 신묘장구대다리에 들어갑니다.
5. 한국불교의 정통적인 의식에 의하면 종파를 막론하고 법사스님이
법문을 함에 있어서 경전을 인용하고 난 다음에는 반드시 대중들과
함께 나무아미타불을 부르게 되어 있습니다.
6. 중국영화를 볼 때 스님이 등장하는 장면에서 스님들은 반드시 말
시작이나 끝에 "아미타파(나무아미타불)'라고 합니다.
등등.

모든 대상은 아미타불-아:법신,미:보신,타:화신,불:자성불 입니다.
어느 곳에서나 하루에"아미타불"를 한 호흡에 10번씩 1념으로
10념 이상을 하여봅시다.
다음은 아미타불 신앙에 대한 참고 자료입니다.

-아미타불 阿彌陀佛,Amita Buddha-

아미타유스는 우리나라의 무량광불(無量光佛)로 해석되는 '아미타불'의
산스크리트 원어이다.
아미타(Amita)는 '한 없는'이라는 뜻의 한자어 무량(無量)을 뜻하고
여기에 yus가 붙어서 한 없는 수명이 있는 존재인 아미타유스가 된다.

아미타불을 줄여서‘아미타’또는‘미타’라고도 하며 범본경전
(梵本經典)에는 아미타유스붇다(Amitayus-Buddha 무량수불)
아미타바붇다 (Amitabha-Buddha무량광불)의 이름이 있고,밀교
(密敎)에서는 아밀리타붇다(Amrta-Buddha 감로왕불)의 이름 등이
있으나 보편적으로 아미타불이나 무량수불로 불리워 지고 있다.

그리고 법신불을 상징하는 비로자나는 범어로 바이로차나
[Vairo-cana]인데뜻은 태양 즉 빛이다.반해 아미타불은 아미타바
[빛]와 아미타유스[영원한생명]를 같이말한 것이다.

대승불교의 부처 가운데 가장 중요한 부처. 아미타여래·미타라고도 한다.
이 부처의 신앙을 중심으로 하여 성립된 것이 정토교이다.

대승불교의 부처 가운데 가장 중요한 부처. 아미타여래(阿彌陀如來)·
미타(彌陀)라고도 한다.
이 부처의 신앙을 중심으로 하여 성립된 것이 정토교(淨土敎)이다.
아미타(阿彌陀)란 이름은 무량수(無量壽)·무량광(無量光)을 나타내는
산스크리트 아미타유스(amitāyus)와 아미타브하
(amitābhas)의 한역(漢譯) 음사(音寫)이다.

본래 정토(淨土)라고 하는 용어는 대승불교 일반에서 쓰이는 술어이며
아미타불의 극락정토에 한정해서 쓰이는 말은 아니다.
다시 말하면 정토란 시방삼세(十方三世)의 모든 불국토를 가리키는 말이다.
그것이 어느 새 아미타불의 극락국토만을 정토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

정토 사상에서 가장 중요한 용어는‘극락’과 ‘아미타불’,‘본원(本願)’이다.
나무아미타불을 염불하여 극락정토에 왕생하는 것이 정토신앙의
요체이다.
왕생은 아미타불의 본원에서 비롯되며 그것은 바로 부처의 본질인
중생을 구제하지 않을 수 없는 동체대비(同體大悲)의 지혜와 자비가
아미타불의 본원을 통해서 중생에게 회향되어지는 것을 말한다.
나무아미타불(南無阿彌陀佛)이란 아미타불에게 귀의한다는 말이다.

범어로는 두 가지로 표현된다. 즉 Namo-Amitabha은 Namas + a +
mita + abha과 Namas + a + mita + ayus의 두 가지로 해석할 수 있는
것이다.
Namas는 귀의한다는 말이며, a는 부정의 의미를 지닌 접두사이다.
mita는 헤아린다는 말이다. abha는 광명이며 ayus는 생명을 뜻하는 말이다.
그렇다면 나무아미타불이라고 하는 말은 ‘헤아릴 수 없는 광명에 귀의합니다’
내지는 ‘헤아릴 수 없는 생명에 귀의합니다’라는 말이다.

무한 광명(無限光明)에 귀의하고 무한 생명(無限生命)에 귀의한다고
하는 말은 법에 귀의하는 것이며, 진리 그 자체에 귀의한다는 말이기도 하다.
신구의(身口意) 삼업(三業)을 총동원하여 진리 그 자체에 귀의하는 것이
바로 나무아미타불이다. 그것을 염불(念佛)이라고 한다.
<무량수경>에서는 이 부분을 강조하기 위하여 불불상념(佛佛相念)의
개념을 도입하고 있다.

‘불(佛)과 불(佛)이 서로 염한다’는 것은 부처가 염불한다는 말이다.
그렇게 해서 미타삼매에 들어 <무량수경>을 설하셨으며 무한 광명과
하나가 되고 무한 생명과 하나가 되어 저절로 진리 그 자체와 하나가
되어 왕생극락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는 세속적인 욕망이 개입될
여지는 전혀 없으며, 순수 가치만이 존재하며 순수 신앙의 세계로
몰입하게 되는 것이다.

‘나무삼(南無三)’ 이라고 하는 것이 있다.
이것은 원래 ‘나무삼보(南無三보)’이고,불·법·승(佛·法·僧) 3보(三보)에의
귀의를 표명한 것이다.
또 인도인은 현재에도 인사할 때는 합장하면서,‘나마스 떼’ 라고 한다.
‘나마스’는 ‘나무’하고 같은 말이고 ‘떼’는 ‘당신’이다. “당신에게
귀의합니다.
극락국토는 대우주의 어느 곳에 있는가?
이같은 아미타부처님의 대원력에 의해 세워진 아미타국토, 즉
극락국토 는 과연 어디에 있으며 어떻게 생겼을까요?
「화엄경」에 보면 『연화장세계 (蓮華藏世界)라 불리는 광대무변한
대우주에 20겹으로 된 수많은 대우주 세계가 있는데 제13 겹계에 우리가
살고 있는 사바계 우주, 은하계 우주가 있다.
연화장세계는 불찰(佛剩)미진수의 세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바세계로부터
서쪽으로 십만억세계를 지나 극락세계가 있는데 극락세계와 사바 세계는
같이 연화장세계 내에 있다』고 자못 세세하게 극락의 위치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 극락은 광대무변한 우주 가운데 천체의 모양으로 실재하는 땅이며
천당·지옥 등이 있는 3계(三界)와도 구별된다고 경은 밝히고 있습니다.
극락에는 5욕(五欲)이 없으므로 비욕계(非欲界)며, 땅에 존재하므로
비식계(非色界)며, 극락인들 모두 형상이 있으므로 비무색계(非無色界)로
경은 욕계, 색계, 무색계와 구별되는 곳이라 확인하고 있습니다.

극락의 양상은 문자 그대로 지고의 복락이 구족한 곳으로 미타인행 48원
(願)에서 와 같이 『땅이 칠보로 되어 있고 청정하며 국토가 한량없이
넓고 땅이 평탄하여 산과 골짜기, 바다와 강이 없으며(보고자 원하면
나타남), 지옥 아귀 축생 등이 없다.

비 눈이 없고 해 달도 없으나 항상 밝고 밤낮이 없으며, 꽃피고 새 우는
것으로 낮을 삼고 꽃지고 새 쉬는 것으로 밤을 삼는다.
극락의 일주야는 사바의 일겁에 해당하며, 음욕이 없으며 6신통
(六神通)이 모두 구족돼 결코 욕망하는 바로 고통받는 일이 없다.
사람들 모두 지혜스러우며 도덕 아님이 없고 서로 공경하고 사랑하며
미워하거나 시기하는 일이 없다』등등 고(苦)로부터 해방된 낙토(樂土)
임을 경마다에 밝히고 있습니다.

극락에 태어나려면?


그렇다면 이같은 낙토에 나게 되는 사람은 누구일까요? 「천수경」
가운데 여래 십대발원문에 보면 『원아결정생안량 원아속견아미타
(願我決定生安養 願我決定阿彌陀』라는 원력을 부처님께서도 말하고
계시듯 모든 제불보살들도 극락국토에 나서 여래를 친견하는 것을
커다란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나무아미타불" 일념(一念)을 염불하는데 80억겁 동안 지은 무거운
죄업을 없앤다.라고 하였습니다.(관무량수경)

부처님께서 미륵보살과 아난존자에게 아미타부처님과 극락세계에 관한
가르침을 간곡히 보여 주시면서, 그 회상에 있는 신통지혜가 통달한
1만 2천 명의 덕망 있는 비구(성문)와 이미 대승에 나아간 무수한 여러
보살들에게 까지도'극락세계에 태어나길 발원하라'(무량수경)

'원아임욕명종시(願我臨欲命終時)-원하옵건대 제가 목숨을 마칠 적에
진제일체제장애(盡除一切諸障碍)-온갖 장애가 소멸되어
면견피불아미타(面見彼佛阿彌陀)-아미타 부처님을 뵈옵고
즉득왕생안락찰(卽得往生安樂刹)-곧 바로 극락세계에 태어나게
하여지이다.

위는 선재동자가 53선지식을 친견하고 한량없는 법문을 배운 뒤,맨
마지막으로 다시 보현보살님을 친견하였을 때, 보현보살님께서
선재동자에게 십대원왕(十大願往)으로 극락세계에 왕생하도록
가르치시는 법문이다. (화엄경 입법계품)

석가모니부처님께서 문수 보살에게 반드시 극락세계에 왕생하리라는
수기를 주시자, 문수 보살님께서도 발원을 하시기를
"원하옵건대 제가 목숨이 다하는 날 모든 장애가 소멸되어,
아미타부처님을 뵈옵고 극락세계에 태어나게 하여지이다.
극락세계에 왕생한 후에는 나의 대원이 성취되어 아미타 여래께서
현전에서 제게 수기를 주시옵소서" (관불삼매경)

《무량수경(無量壽經)》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 《아미타경》
등에 의하면 아미타불은 세자재왕불(世子在王佛)이 출현했을 때
법장(法藏)이라는 보살이었으나 무상의 깨달음을 얻어야겠다고
결심하고, 전인류를 구원하기 위한 본원(本願)으로서 48대원
(四十八大願)을 세우고 5겁(五劫) 동안 수행을 거듭한 결과
서원과 수행을 성취하여, 지금으로부터 10겁이라고 하는 오랜
옛날에 부처가 되어 여기서부터 서쪽으로 10만억불토(十萬億佛土)
떨어진 안락(安樂)이라고 하는 정토(淨土)에서 교설(敎說)을
펼치고 있다고 한다.

「정토삼부경」에는 구원겁(九遠劫)전에 법장보살이
사십팔원(四十八願)을 세워 조재영겁(兆載永劫)의 오랜 수행을
쌓고 이미 십겁(十劫)전에 성불하여 현재 서방 극락세계에서
설법하고 계신 부처님을 아미타불이라 한다.

그리고 밀교에서는 법신(法身)(陀)․보신(報身)
(彌)․화신(化身)(阿)의 삼신을 겸전한 부처님이 아미타불이라
하였고, 선봉과 화엄종에서는 자성미타(自性彌陀)유심정토(唯心淨土)
라 하여 일체 만법을 원만히 갖춘 참성품인 마음이 바로 아미타불이며
극락세계 또한 청정한 마음 위에 이루워 지는 장엄한 경계임을
밝히고 있다.


「아미타경」에도 그 수명이 무량하므로 무량수불이요 광명이
무량하므로 무량광불이라 하였으니, 그 무량한 수명은 영원한
시간과 자비를 상징하고, 무량한 광명은 무한한 공간과 지혜를
상징하므로, 자비와 지혜를 원만히 갖춘 영원한 진여자성이
아미타불임을 의미하였다.

또한 더욱 구체적인 이름으로는 십이광불(十二光佛)이라 하여
무량수불 외에 무량광불(無量光佛)․무애광불(無碍光佛)
․무대광불(無對光佛)․염왕광불(燄王光佛)
․청정광불(淸淨光佛)․환희광불(歡喜光佛)․
지혜광불(智慧光佛)․부단광불(不斷光佛)․난사광불
(難思光佛)․무칭광불(無稱光佛)․초일월광불
(超日月光佛)등을 들고 있다.("무량수경"참조)

(불교의 수행법-4가지로 요약하면)
향상일구문(向上一句門),이란 선종(禪宗)으로, 자력으로 자아를
깨달아 자기완성을 목적으로 하는 수행문이며, 의교수행문
(依敎修行門),이란 교종으로, 부처님의 말씀을 따라 실천,
전법을 목표로 함이요, 즉신성불문(卽身成佛門),이란 진언종
(眞言宗)인 밀교로 대일여래를 교주로 삼아 진언의 위신력으로
성불하는 길이며, 염불왕생문(念佛往生門)이란 정토종(淨土宗)으로
아미타불의 명호를 불러 서방 극락세계에 태어나 불퇴전지
(不退轉地)에 올라 아미타불을 친견하고 극락세계에서 가행정진한
뒤 사바세계로 돌아와 중생을 제도하려는 수행문입니다.

부처님께서는 이 네가지 수행문 가운데 말법시대 중생들은 아미타
부처님의 원력에 힘입어 염불왕생을 도모함이 성불의 첩경이라
하셨습니다.


아미타불의 원력과 스스로의 정진력에 힘입어 정토에 왕생, 생사를
벗어나 열반을 증득하는 길이 빠르다 말씀하셨습니다.
아라한도 출태(出胎)할땐 미(迷)해지고, 보살도 전생(前生) 일이
아득하다 하였는데 중생들이야 더 말할 나위없다 하셨습니다.

정토선 수행도중 나타나는 경계
1) 육안(肉眼: 일반사람들의 눈)->2) 천안(天眼: 염불수행을 통해서
열리는 하늘의 눈)->3) 혜안(慧眼: 자성(참마음)을 볼 수 있는 눈)->
4) 법안(法眼: 아공<我空>과 법공<法空>의 경지를 깨닫는 눈)->
5). 불안(佛眼: 부처님의 경계를 보는 눈)의 차례로 경계를 경험할수있다.
자성이 자유로와 모든 망상이 사라지고 신령(神靈)이 자유로워져
세상의 모든 인연은 공(空)해지고, 부처님의 경지에 들어가 생(生)과
사(死)의 윤회로부터 벗어나게 된다.)출처:아비라(http://cafe.daum.net/abira)

한국의 아미타불에 관한 신앙은 6, 7세기 무렵 신라(新羅)의 원효(元曉)에
의하여 널리 보급되고 체계화되었다.
만약에 어떤 사람이 실로 의심을 버리지 못하고 알지 못했다고 하더라도,
스스로를 돌아 보라. 마음이 열리지 못했다고 하더라도, 오로지 如來만을
우러러 한결같은 마음으로 엎드려 믿어라. 이와 같은 사람은 그 行業에 따라
반드시 마음이 열릴 것이니라. 결코 삿되지는 않으리라.(신라 원효성사)
({無量壽經宗要}){{) [大正新脩大藏經]第37卷. p.131b

1) 아미타불 염불시 일념(한호흡의 내쉬는 숨을 길게하면서 "아미타불" 10회)을
십념 이상(30분~1시간 이상,앉자서 할 경우는 좌선의 자세로 허리를 세우고서한다.
서서하여도 무방함)
0. 숨을 고룬 다음 내쉬는 숨을 길게 하면서 한숨에 ‘아미타불’을 열 번 한다.
0. 숨을 멈춘 상태에서는 아미타불의 미소를 관상한다.
0. 숨을 들이쉰 다음 다시 내쉬면서 ‘아미타불’을 열번씩 반복한다.
(들어오는 숨이 정수리 숨골을 통해 밝은 빛으로 들어온다고 느낀다.)

염불 수행시 4가지 염불(念佛)의 방법을 순차적으로 하여나아감.
1) 칭명(稱名)염불:부처님의 이름을 외우는 염불->
2)관상(觀像)염불:부처의 상호(32상 80종호)를 갖춘 원만덕상을 관찰하는 염불->
3)관상(觀想)염불:부처님의 자비공덕이나 지혜광명 등 부처님의 무량공덕을
상념하는 염불.->
4) 실상(實相)염불:부처님(佛)의 법신(法身)이 비유비공(非有非空)한
중도실상(中道實相)의 묘심(妙心)임을 관조(觀照)하는 염불.

좌선 염불시 방법
0.상품상생(上品上生), 미타정인(彌陀定印)의 가부좌 자세를 한다.
미타정인 [彌陀定印]이란
아미타불이 나타내는 여러 수인 중 하나로, 묘관찰지정인(妙觀察智定印)
이라고도 한다.
법계정인(法界定印), 즉 선정인(禪定印)이 약간 변형된 수인이다.
왼쪽 손바닥을 위로 보이게 펴서 단전 앞에 붙이고 오른손 역시 손바닥을
위로 보이게 펴서 왼쪽 손바닥 위에 포갠 상태에서 양쪽 엄지를 맞닿게 하는
선정인 자세에서 양쪽 검지를 구부려 맞닿게 하면 된다.

(아미타불 법회및 수행순서)
[사성례]
지심귀명례 서방정토 극락세계 아등도사(我等導師) 아미타불
지심귀명례 서방정토 극락세계 대자대비(大慈大悲) 관세음보살
지심귀명례 서방정토 극락세계 대희대사(大喜大捨) 대세지보살
지심귀명례 서방정토 극락세계 일체청정(一切淸淨) 대해중보살

[관불게]
무량광중 화불다 (無量光中 化佛多) 앙첨개시 아미타 (仰瞻皆是 阿彌陀)
응신각정 황금상 (應身各挺 黃金相) 보계도선 벽옥라 (寶계都旋 碧玉螺)
고아일심 귀명정례 (故我一心 歸命頂禮)

신묘장구대다라니(1~ 10회)혹은 아미타경,천수경,반야심경,법성게등 독송

[정근]
나무 서방정토 극락세계 아등도사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불 나무아미타불.
(나무를 붙이기 3~7번후),아미타불,아미타불,아미타불.아미타불 ~~(계속)
[아미타불 본심미묘 진언](1번) 다냐타 옴 아리다라 사바하 (3번)

[회향발원]
원이차공덕 보급어일체 아등여중생 당생극락국 동견무량수 개공성불도
願以此功德 普及於一切 我等與衆生 當生極樂國 同見無量壽 皆共成佛道

[축원] 자신의 소원을 염원합니다.

[회향게]
원공법계제중생 동입미타대원해 진미래제도중생 자타일시성불도
願共法界諸衆生 同入彌陀大願海 盡未來際度衆生 自他一時成佛道

<해설>
염불 수행의식에는 예배, 찬탄, 작원, 관찰, 회향이라는 오념문의 뜻이
모두 포함되어 있습니다.
아미타불 관세음보살 대세지보살 대해중보살은 극락정토의 성인들인데,
대승보살의 사무량심인 "자비희사"를 구족하고 무연자비(無緣慈悲)를
베풀되 염불인을 인도하고 교화하시기 때문에 그 분들께 예배드립니다.
"귀명(歸命)"은 몸과 마음을 맡긴다는 뜻인데 예배의 차원을 넘어
일심으로 귀의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므로 예배하여도 귀명하지 않을 수 있지만 귀명하면 반드시
예배한다고 하였습니다.

[관불게]
무량한 광명 가운데 화신불 헤아릴 수 없어
우러러 바라보니 모두 다 아미타불이시네
응신은 각기 황금의 모습으로 출현하시고
보계의 모두 돌린 모습 벽옥의 소라같으시네
그러므로 저희들이 일심으로 귀명하여 정례드립니다.

"무량광"은 깨달음으로 바라본 보신의 경계요, 응신과 화신은 범부와
이승이 보는 경계입니다.
응신과 화신은 범부와 이승이 행하는 염불의 감응으로 다가옵니다.
관상염불은 아미타불의 보신의 경계를 관찰하는 것입니다.

[정근]
나무아미타불" 명호를 부르는 것은 찬탄입니다. 아등도사(我等導師)는
"저희들을 인도하시는 스승"이라는 뜻입니다.

[아미타불 본심미묘 진언]은 꼭 해설하고자 하면 대개 이렇습니다.
[다냐타]....... "그리고" 혹은 "그리하여"라는 뜻입니다.
[옴]...진언마다 나오는 말인데 "찬탄하다" "극찬하다" 등의 뜻입니다.
[아리다라].....관세음보살의 다른 이름입니다.
[사바하]....."성취하다" "원만" "이룩하다" 등의 뜻입니다.

이 진언은 "그리고 관세음보살을 찬탄하오니 부디 성취하리라."
라는 의미입니다.
염불법으로 깨달음에 이르러 반드시 관세음보살 같은 삶을 성취하리라는
서원을 담고 있는 진언 중에 진언입니다.
그러므로 [아미타불 본심미묘 진언]이라고 부릅니다.

[회향발원]
모든 공덕을 짓고 회향하여 정토에 왕생하기를 원하는 작원입니다.

원하오니 염불하는 이 공덕 널리 일체에 미치어
저희들과 더불어 모든 중생들 마땅히 극락국에 태어나
함께 아미타 부처님 친견하고 모두 다 불도를 이루게 하소서

[회향게]
왕생을 성취하여 깨달음 이후에 베푸는 공덕회향입니다.

원하오니 법계의 모든 중생들과 함께
다 같이 아미타 부처님 대원의 바다에 들어가
미래세가 다하도록 중생을 제도하고
나와 남이 일시에 불도를 이루게 하소서

염불법은 범부로부터 현성에 이르기까지 일체 중생을 섭수하여
깨달음으로 인도하는 가르침이기 때문에 수행의식부터 그 바탕을
확고히 할 필요가 있습니다.
다음 생의 극락왕생은 보장되었으니 하루 하루의 염불행에 충실하면서
넓고 깊게 이해하시면 자연히 깨달음을 성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출처 : 나무아미타불
글쓴이 : 향련 원글보기
메모 :